본문 바로가기

Public Cloud (AWS, GCP)

(3)
AWS Cloudfront 맛보기 Cloudfront 정적 및 동적 웹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더 빨리 배포하도록 지원하는 웹 서비스입니다. CloudFront는 엣지 로케이션이라고 하는 데이터 센터의 전 세계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CloudFront를 통해 서비스하는 콘텐츠를 사용자가 요청하면 지연 시간이 가장 낮은 엣지 로케이션으로 요청이 라우팅되므로 가능한 최고의 성능으로 콘텐츠가 제공됩니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CloudFront/latest/DeveloperGuide/Introduction.html Amazon CloudFront란 무엇입니까? - Amazon CloudFront Amazon CloudFront란 무엇입니까? Amazon CloudFront는 .ht..
AWS S3 맛보기 음... 취업하기 전에 진행했었던 프로젝트에서 AWS Resource 관련 정리해 놓은 파일이 놀고있길래.. 블로그에 정리해볼려고 한다. (안하면 그대로 썩어 없어질판) 그 첫번째는 S3이다. S3 확장성, 가용성, 보안 등 여러 측면에서 강점을 가진 AWS의 클라우드 기반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뭐이리 장점이 많아?) !S3 버킷은 기본적으로 전역적(이 세상에서)으로 이름이 고유해야 한다. 이는 버킷명이 S3에 접근할 수 있는 도메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S3 버킷명에 접근할 수 있는 URL에 S3 버킷명이 포함되기 때문에 전역적으로 고유해야 한다는 말이다. 고유하지 않으면 어떻게 동일한 URL에 대해 구분할 수 있겠는가.. S3 액세스 일단 잘 모르겠으면 퍼블릭 액세스는 차단하는..
AWS Glue를 이용한 ETL ETL 이란 무엇일까? E (Extract) : 대상 소스에서 데이터를 추출 T (Transform) : 원시 데이터를 반환하여 목적에 맞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 L (Load) : 변환한 데이터를 목표 시스템에 적재 간단하게 설명하면, "입맛대로 데이터를 뽑아내고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 그럼 ETL은 왜 필요한걸까? 간단하게 2가지 이유를 들어보자면, 데이터 분석에서 ETL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어려움을 겪고 있음 초연결사회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데이터와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차이가 벌어지는 현상 이를 잘 나타내는 표가 있어서 첨부하겠다. 그렇다면 이제 AWS Glue에 대해 알아볼 차례이다.. AWS Glue의 정의는 다음과 같은데, 분석, 기계 학습(ML)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