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raform (4) 썸네일형 리스트형 테라폼 스터디 9주차 - 추가 내용 replica에 대한 오해 replica 블록은 테라폼 자체에서 제공하는 것이 아닌, aws_dynamodb_table 리소스에서 dynamodb_table 복제본을 쉽게 만들기 위해 제공는 리소스 옵션 중 하나.# main.tfresource "aws_dynamodb_table" "my_table" { name = "my_table" hash_key = "key" attribute { name = "key" type = "S" } replica { region_name = "eu-west-2" } replica { region_name = "us-east-1" }} replica로 생성된 dynamodb_table 리소스들에서 특정 dynamodb_table.. 테라폼 스터디 - 3주차 추가내용 테라폼으로 instance 띄우고 그 instance 내부에서 nginx 띄우는 방법? 방법 1. user_data 이용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제공할 사용자 데이터. 이 인수를 통해 gzip 압축 데이터를 전달하지 마시고, 대신 user_data_base64를 참조하세요. 이 필드를 업데이트하면 기본적으로 EC2 인스턴스의 중지/시작이 트리거됩니다. user_data_replace_on_change가 설정되어 있으면 이 필드를 업데이트하면 EC2 인스턴스의 삭제 및 재생성이 트리거됩니다. 특징인스턴스가 처음 실행될 때 한번만 실행됨이미 실행된 인스턴스에 대해 변경사항 반영하기 어려움 / 인스턴스 재시작 또는 재생성이 필요resource "aws_instance" "example" { ami .. 테라폼 스터디 3주차 테라폼 설치Linuxwget -O - https://apt.releases.hashicorp.com/gpg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hashicorp-archive-keyring.gpg echo "deb [arch= $( dpkg --print-architecture ) signed-by=/usr/share/keyrings/hashicorp-archive-keyring.gpg] https://apt.releases.hashicorp.com $( lsb_release -cs ) main" | sudo tee /etc/apt/sources.list.d/hashicorp.list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테라폼 스터디 - 2주차 데브옵스의 등장. 전통적인 조직에서의 개발과 운영은 대립 관계에 있다. 개발은 서비스의 변화를, 운은 서비스 안정을 위해 유지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로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릴리즈 주기 지연 (개발부터 배포까지 아주 많은 시간이 소요됨)커뮤니케이션 부재 (릴리즈 주기 지연의 문제부터 사일로 현상 등 다양한 문제) - 비효율적, 비용 증가 다음과 같은 현상, 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devops가 전파되기 시작한다. 애자일 개발론 : 빠른 개발 주기와 팀 간 협업을 강조 (빠르고, 반족적인)애자일의 빠른 개발주기에 맞춰 운용의 자동화가 필요해짐CI : 코드를 자주 통합하고, 이를 자동화된 방법으로 테스트 및 검증클라우드 서비스의 대중화 코드형 인프라란?위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프라 정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