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8)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Cloudfront 맛보기 Cloudfront 정적 및 동적 웹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더 빨리 배포하도록 지원하는 웹 서비스입니다. CloudFront는 엣지 로케이션이라고 하는 데이터 센터의 전 세계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CloudFront를 통해 서비스하는 콘텐츠를 사용자가 요청하면 지연 시간이 가장 낮은 엣지 로케이션으로 요청이 라우팅되므로 가능한 최고의 성능으로 콘텐츠가 제공됩니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CloudFront/latest/DeveloperGuide/Introduction.html Amazon CloudFront란 무엇입니까? - Amazon CloudFront Amazon CloudFront란 무엇입니까? Amazon CloudFront는 .ht.. AWS S3 맛보기 음... 취업하기 전에 진행했었던 프로젝트에서 AWS Resource 관련 정리해 놓은 파일이 놀고있길래.. 블로그에 정리해볼려고 한다. (안하면 그대로 썩어 없어질판) 그 첫번째는 S3이다. S3 확장성, 가용성, 보안 등 여러 측면에서 강점을 가진 AWS의 클라우드 기반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뭐이리 장점이 많아?) !S3 버킷은 기본적으로 전역적(이 세상에서)으로 이름이 고유해야 한다. 이는 버킷명이 S3에 접근할 수 있는 도메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S3 버킷명에 접근할 수 있는 URL에 S3 버킷명이 포함되기 때문에 전역적으로 고유해야 한다는 말이다. 고유하지 않으면 어떻게 동일한 URL에 대해 구분할 수 있겠는가.. S3 액세스 일단 잘 모르겠으면 퍼블릭 액세스는 차단하는.. AWS Glue를 이용한 ETL ETL 이란 무엇일까? E (Extract) : 대상 소스에서 데이터를 추출 T (Transform) : 원시 데이터를 반환하여 목적에 맞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 L (Load) : 변환한 데이터를 목표 시스템에 적재 간단하게 설명하면, "입맛대로 데이터를 뽑아내고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 그럼 ETL은 왜 필요한걸까? 간단하게 2가지 이유를 들어보자면, 데이터 분석에서 ETL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어려움을 겪고 있음 초연결사회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데이터와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차이가 벌어지는 현상 이를 잘 나타내는 표가 있어서 첨부하겠다. 그렇다면 이제 AWS Glue에 대해 알아볼 차례이다.. AWS Glue의 정의는 다음과 같은데, 분석, 기계 학습(ML)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여러 .. ssh 접속이 갑자기 안되는 경우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ssh 접속을 하는 경우는 보통 클라우드 컴퓨팅(AWS, GCP) 등을 이용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거기에 접속하기 위해 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아님말고) 그런데 가끔, 잘 되던 ssh 접속이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이번에는 이에 대해 글을 작성해보려 한다. 이건 내가 싫제로 겪었던 문제이다. 분명 특정 ip(인스턴스) 에 대한 ssh 키페어를 발급 받고 접속하려는데 갑자기 안되는 것이다. 하지만 뭐든 갑자기 안될리가 없다.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ssh-keygen -R xx.xx.xx.xx[target IP] 인증서 정보를 갱신해준다. 나의 경우에는 gcp의 인스턴스를 삭제 후 새로 만들었는데, 할당받은 IP가 동일해서 예전의 ssh key로 인증하려고 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에러이다. 새로.. troubleshooting 게시글에 대해 여긴 뭔가 길고 깊게 파고들었던 내용 보다는, troubleshooting이라고 카테고리를 잡고 적기엔 애매한, 발생했던 문제상황이나 간단한 오류에 대한 해결방법들을 정리해 나갈 것이다.. 그래서 글 내용도 짧을 것이고 가볍게 적을려고 한다. 뭔가 해결하기 어려웠거나 깊게 파고들었던 부분은 그에 맞는 카테고리에 게시글을 작성할 예정이다. 미래의 나 그리고, 이 블로그에 오게될 누군가를 위해서 (오냐?) git squash & cherrypick Git Squash (vscode로 쉽게 squash 진행해보기) 환경 vscode extension : git graph, git Lens 작업을 하다보면 커밋 기록이 너무 더러워지거나 여러개의 기록을 하나로 합치고 싶은 경우가 생긴다. 그럴땐, git sqush 를 이용하여 커밋 기록을 합칠 수 있다. git rebase -i HEAD~3 # 최근 3개의 커밋을 대상으로 대화형 리베이스 실행 실습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자. 우리의 목표는 최근 3개의 커밋을 하나로 합치는 것이다! git graph가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우선, ctrl + shift + p를 누른다음, GitLens의 Interactive Rebase Editor기능을 활성화 시켜주자. `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Gi.. 신입이 이해한 GitOps GitOps에 대한 글을 정리해서 작성해보려 합니다.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발견하신 분은 정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itOps란? 내용을 찾아보고 내가 내린 정의는 다음과 같다. → Git 저장소를 사용하여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자동화하고 관리하는 DevOps 관행 DevOps : 개발 + 운영 /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개발 문화 및 환경 사실 DevOps에 대한 개념의 이해는 게시글 하나를 따로 작성해야할 정도의 깊이있는 이해와 경험이 필요한 것 같다.일단 여기서는... 짧은 문장으로 대체하겠다.굳이, 한 문장으로 정리하자면 내가 DevOps를 정의하자면 저렇다는 것이다. GitOps 핵심 개념 GitOp.. GitOps 몸으로 배우기 (feat. 작업물 날려먹기) 첫 글은 이게 아니었는데... 블로그를 시작하게 된 이유는 회사에서 MLOps 관련 공부와 일을 하면서 배웠던 점을 기록하기로 마음 먹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입사원 온보딩 교육기간동안 했었던 것들을 기록하고자 하였는데 오늘! 사소하지만 사소하지 않은 일이 있었다... 그래서 먼저 순서를 바꾸고자 한다. GitOps를 몸으로 배운 순간. 사실, GitOps라는 개념은 회사에 입사하고나서, GitOps에 대해 리서치하고 짧게 발표해서 개념은 얼추 알고 있었다. (아닐지도?) 그런데, 요 며칠간 Grafana를 만지면서, 직접 만들었던 대시보드를 날려먹는 일이 있었다. 사건의 발단은 이러했다. GCP 클러스터 내에 배포된 Grafana Web으로 접속 → 웹에서 대시보드 작성 →.. 이전 1 ··· 3 4 5 6 다음